-
목차
반응형1. 아리스토텔레스는 누구인가?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 BC 384~322)는 플라톤의 제자이자 알렉산더 대왕의 스승으로, 서양 철학의 기초를 다진 대표적인 철학자입니다. 그는 논리학, 형이상학, 윤리학, 정치학, 자연과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중요한 이론을 남겼으며, 특히 ‘행복론’에 대한 깊은 탐구로 유명합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 인간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것은 행복(eudaimonia)이며, 이는 단순한 감각적 쾌락이 아니라 덕을 실천하는 삶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렇다면, 그의 행복론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가질까요?
2.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이란?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을 단순한 순간적인 기쁨이 아니라, 인생 전체를 관통하는 궁극적인 목표라고 보았습니다. 그의 행복론을 이해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핵심 개념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1) 인간의 궁극적 목적은 행복
아리스토텔레스는 “모든 인간은 행복을 추구한다.”라고 말했습니다. 사람들은 돈, 명예, 권력을 원하지만, 결국 그 이유는 행복하기 위해서입니다. 그러나 그는 진정한 행복이 단순한 쾌락이나 물질적 성공이 아니라, ‘탁월한 삶(virtuous life)’을 사는 데 있다고 보았습니다.
2) 덕(아레테)을 실천하는 삶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한 삶을 위해서는 ‘덕(아레테, Arete)’을 실천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인간에게는 두 가지 덕이 있다고 보았습니다.
- 지적인 덕(Intellectual Virtue): 지혜, 이해력, 판단력 등 지적 능력을 기르는 것.
- 도덕적인 덕(Moral Virtue): 용기, 절제, 정의와 같은 도덕적 성품을 기르는 것.
그는 우리가 행복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덕을 실천하고, 좋은 습관을 형성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3) 중용(메소테스, Mesotes)의 원리
아리스토텔레스는 ‘중용(中庸, the Golden Mean)’의 개념을 제시했습니다. 이는 극단을 피하고, 균형 잡힌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덕을 실천하는 방법이라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 용기가 지나치면 무모함이 되고, 부족하면 비겁함이 됩니다.
- 자비가 지나치면 방종이 되고, 부족하면 냉혹함이 됩니다.
이처럼, 중용의 원칙을 따르는 것이 덕을 실천하는 핵심이며, 이는 곧 행복으로 이어진다고 보았습니다.
3.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 어떻게 적용할까?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은 단순한 철학 이론이 아니라, 우리의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지침이 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그의 행복론을 실천할 수 있습니다.
1) 단기적인 쾌락보다 장기적인 가치를 추구하기
오늘날 우리는 즉각적인 만족을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SNS의 ‘좋아요’나 쇼핑을 통해 순간적인 행복을 느끼지만, 이는 지속되지 않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진정한 행복은 장기적인 목표와 의미 있는 활동에서 온다고 보았습니다. 자신의 성장과 발전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좋은 습관을 기르고, 덕을 실천하기
행복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좋은 습관을 통해 점진적으로 형성됩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덕을 실천할 수 있습니다.
- 용기 키우기: 새로운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고 시도해보기.
- 절제 연습하기: 감정과 욕망을 조절하는 연습하기.
- 정의 실천하기: 공정한 판단을 내리고 타인을 배려하는 태도 갖기.
이러한 덕을 지속적으로 실천하면 행복한 삶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3) 중용의 원칙 적용하기
균형 잡힌 삶을 위해 우리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중용의 원칙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 일과 휴식의 균형: 지나친 업무 스트레스는 지치게 하지만, 과도한 휴식은 나태함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자기주장과 배려의 균형: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타인의 입장도 존중해야 합니다.
- 소비 습관 조절: 지나친 소비는 재정적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고, 지나친 절약은 삶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합리적인 소비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행복은 실천에서 온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이 단순한 감정이 아니라, 올바른 삶을 살아감으로써 얻어지는 결과라고 보았습니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도 그의 철학을 실천함으로써 더욱 의미 있고 충만한 삶을 살 수 있습니다.
오늘부터 우리가 덕을 실천하고, 중용의 원칙을 지키며, 순간적인 쾌락보다 장기적인 행복을 추구한다면,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진정한 행복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입니다.
“당신의 삶에서 덕을 실천하세요. 행복은 실천하는 사람의 것입니다!”
반응형